2025년 연말정산을 통해 '13월의 월급'을 챙길 수 있는 기회입니다. 아래에서 신청 방법과 환급금 수령 절차를 자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1. 연말정산이란?
연말정산은 1년 동안 납부한 세금과 실제 납부해야 할 세금을 비교하여 차액을 정산하는 절차입니다. 이를 통해 과다 납부한 세금을 환급받거나 부족한 세금을 추가로 납부하게 됩니다.
2. 연말정산 시기
- 2024년 11~12월: 국세청 홈택스의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를 통해 예상 세액을 확인하고, 절세를 위한 준비를 합니다.
- 2025년 1~2월: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통해 의료비, 교육비 등 공제 항목을 확인하고, 필요한 서류를 회사에 제출합니다
- 2025년 2~4월: 정산 결과에 따라 환급금이 지급되거나 추가 세금이 부과됩니다.
3. 연말정산 신청 방법
- 간소화 서비스 활용: 1월 15일부터 국세청 홈택스의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통해 공제 자료를 확인하고, 회사에 제출합니다.
- 추가 서류 제출: 간소화 서비스에 포함되지 않는 항목(예: 월세, 기부금 등)의 영수증이나 이체 확인증을 회사에 제출해야 합니다.
4. 환급금 받는 방법
- 환급 시기: 정산 결과 환급금이 발생하면, 보통 2월 급여와 함께 지급됩니다.
- 환급 확인: 급여명세서나 원천징수영수증에서 환급금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주의사항
- 정확한 정보 입력: 간소화 서비스에 입력된 정보가 정확한지 확인하고, 누락된 부분이 없는지 점검합니다.
- 기한 준수: 서류 제출 기한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추가 세금 납부: 정산 결과 추가로 납부할 세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연말정산은 세금 부담을 줄이고 환급금을 받을 수 있는 중요한 기회입니다. 위의 절차를 참고하여 준비하시고, 궁금한 사항은 국세청 국세상담센터(126번)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2025 연말정산 미리보기
국세청이 오늘부터 연말정산 예상 세액을 계산할 수 있는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를 개통했습니다.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는 전년도 연말정산 결과와 올해 1월부터 9월까지의 신용카드 사용액을 바탕으로, 내년 초 예상되는 연말정산 세액을 미리 계산해주는 유용한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를 통해 올해 연봉 변화, 부양가족 공제 변경에 따른 인적 공제 여부, 신용카드와 의료비 공제 증감까지 사전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이 익숙하지 않은 근로자들을 위해, 국세청은 개인의 연말정산 이력과 내부·외부 데이터를 분석해 공제 요건을 충족할 가능성이 높은데도 한 번도 공제를 받지 못한 근로자 약 43만 명에게 맞춤형 안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요 공제·감면 대상 항목으로는 주택담보대출 이자 공제, 전세자금대출 원리금 공제, 주택청약저축 납입액 공제, 월세 공제, 교육비 공제,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기부금 공제 등 총 7가지가 포함됩니다.
연말정산 미리보기 이용방법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는 국세청이 올해 9월까지의 신용카드 사용 금액과 작년 연말정산 결과를 바탕으로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근로자는 자신의 총급여와 다양한 공제 항목을 올해 예상 금액으로 수정하여 연말정산 예상 세액을 미리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다만, 실제 연말정산 결과와는 다소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현재 기준으로 적용된 10월의 세법을 반영하여 계산되며, 이후 세법 개정 등으로 인해 예상 결과가 달라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신용카드 소득공제액 계산하기
국세청은 올해 9월까지 수집한 신용카드 사용 금액과 작년 연말정산 자료(지급명세서)를 바탕으로 정보를 제공합니다. 근로자는 자신의 근무 기간, 올해의 총급여액, 그리고 10월부터 12월까지의 신용카드 예상 사용 금액을 입력하거나 수정하여 신용카드 공제액을 사전에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예상세액 계산하기
국세청은 지난해 연말정산 자료와 이전 단계에서 계산된 신용카드 공제액을 기반으로 각 항목별 공제 금액을 미리 입력해 제공합니다. 근로자는 이 항목들을 올해 예상 금액으로 수정하여 연말정산 시 예상되는 세액을 손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절세 Tip 보기
국세청은 이전 단계에서 계산된 결과를 바탕으로 각 항목별 절세 팁과 주의사항을 안내하며, 최근 3년간 공제 항목을 비교한 그래프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근로자는 자신의 공제 금액과 한도액을 비교하고, 제공된 절세 팁과 주의사항을 활용하여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절세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